지루성두피염 원인 증상 한번에 알아보기




건조하면 더 자주 발생하는 지루성두피염 혹시 경험해보셨나요? 지루성두피염은 보통의 경우는 피부가 기름이 지는 두피의 경우 잘 생기는 질환입니다. 오늘은 이 지루성두피염에 대해서 원인 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루성두피염은 여러가지의 원인이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는 피부 자체가 기름지기 진 경우가 많습니다. 거기에 두발이 길면 습하게 되어 잘 발생을 하게 됩니다. 또한 적정량이 아닌 과도한 양을 사용하거나 남자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는 왁스등 헤어스타일링 제품을 많이 사용하시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기름진 음식 또한 지루성두피염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속을 자극하여 몸이 균형을 잃어 균형을 잡으려고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게 작동을 하면서 두피에 열이고 피지분비가 일어나 지루성두피염의 원인을 제공 하게 됩니다.





가장 지루성두피염이 잘 발생하는 연령대는 20~40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발생할 수 있는 연령은 영유아 부터 가능하지만 활동량과 흡연 및 식습관의 불균형을 많이 가져오는 20~40대가 가장 많이 발생 합니다. 초기 단계는 머리가 쉽게 기름이 지게 됩니다. 그리고 두피가 가렵고 비듬처럼 각질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자주 긁게 됩니다. 그러면서 상처가 발생하게 됩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지루성두피염의 가장 큰 원인은 두피열 입니다.

특히 여름에 가장 많이 발생하여 병원을 찾게 되는데요. 두피온도는 두피염을 발생하는 가장 큰 요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온도가 따뜻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습하게 되어 감염성 세균의 번식의 원인이 됩니다.




그렇다면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실 치료는 병원에서 약물과 치료를 통해 진행이 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치료의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 입니다. 잘못된 두피관리법은 탈모로 이어지기 때문에 탈모를 예방 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머리감는 습관 부터 바꾸자!

저는 보통 머리를 감을 때 따듯한 물로 처음부터 끝까지 머리를 감습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2번씩 감기도 합니다. 하지만 지루성두피염이 있다면, 저녁에 한번 즉 하루에 한번 머리를 감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는 미지근한 물로 머리는 감고 마무리에는 열이 많아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 두피를 찬물로 식혀주는 과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과도한 샴푸 보다는 적당량을 사용하여 두피를 손톱이 아닌 손지문으로 부드럽게 마시지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샴푸를 충분히 헹궈주시면서 마무리르 해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말리는 습관을 바꿔주셔야 합니다.

보통은 빨리 말리기 위해 드라이기를 사용합니다. 그것도 뜨거운열을 사용하여 머리를 말립니다. 하지만 위의 내용 처럼 지루성두피염은 두피에 열에 의한 원인 가장 크기 때문에 머리에 뜨거운열을 가하는 것은 갑자기 건조해져서 각질이 발생하기 좋습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서늘한 자연 바람으로 말려주시거나 머리가 길다면 드라이기의 찬바람 모드를 활용하여 천천히 머리를 말려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두피에 열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차단하자!

가장 좋은 것 중 하나인 불규칙적인 식습관과 수면 그리고 흡연 입니다. 담배가 생활환경 중에 가장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시면 되고 면역력을 떨어뜨려 더욱 지루성두피염이 발생할 수 있는 균의 환경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습관, 특히 너무 매운 음식은 피해주셔야 합니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몸에 열과 함께 두피도 열이 나면서 땀이 배출 되기 때문에 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식습관을 바꾸고 금연, 그리고 규칙적인 수면을 통해 예방 및 사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치료 전 자가치료 및 예방 방법으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관릴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먼저 관리를 시작해보시고 그래도 변화가 없고 가려움증 염증 등 악화 될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상담의와 상담하시고 치료를 하시면 됩니다.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는 불편한 질병이기에 초기에 꼭 관리하시어 예방하시고 질병이 발병하지 않도록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